윤수연 기자

사람은 누구나 자신과 관련된 부분에 가장 많은 관심을 갖는다.

가족과 이웃, 직장, 사람 등 인간관계뿐 아니라 공간적으로는 생활기반을 갖고있는 자신의 집과 이웃집 마을, 지역사회에 관심을 갖기 마련이다.

우리가 흔히쓰는 더불어사는 사회나 공동체란 말도 인간관계에 공간을 함축지역 단위를 일컫는 말로 확대해서는 민족공동체까지 쓰지만 일반적으로 쓸때는 지역사회 자치귀를 칭하는게 보통이다.

지방자치제의 원류도 지역사회에 어울려 살며 공동관심사를 주민 자치로 해결하라는 데서 비롯된 것으로 지역사회는 오랜 세월 하나의 행정조직에 통합되어온 전통 때문에 지역적으로 고유한 이름, 문화, 전통을 갖고 있다.

지방자치제의 본질은 주민들에 의해 선출된 자치구의 책임자와 대의기구가 주민들의 의사를 최대한 반영하여 특성에 맞게 지역발전을 도모토록 하는데 있다.  종국적인 목적은 경제적으로 주민소득을 증대시켜 더욱 풍요롭게 하는 것부터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복지증진, 문화, 예술, 체육등 정서함양까지 이른바 더불어 사는 지역 공동체를 향상 발전 시키는데있다.

소지역이나 집단적 이기주의로 인한 님비현상이 지역사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성숙한 토론문화를 도출하기까지의 훈련 기간이 없었고 제도정착까지의 과정에서 빚어지는 일종의 시행착오기간이라고 볼수도 있다, 또한 선출직들의 도덕성문제까지 불거지는것도 같은 맥락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각 자치구에서는 대도시형이나 도농복합형이던, 해안지역, 산간오지를 불문하고 저마다 특성에 맞는 지역개발에 뛰어들어 각자치구가 경쟁을 높이는 성공사례도 있고 일부는 실패한 사례도 있다.

지금까지는 광역자치구만의 소득이 통계로 발표되고 있지만, 멀지않은 장래에는 기초 자치구간에도 소득격차가 현격히 나타날것이고 주민들의 행복지수도 도표로 자리메김 할 것이다.

이런 시대를 대비하여 각 자치구는 지역개발과 주민소득증대를 위해 앞만보고 달리고 있는 중이다, 지역사회가 발전하는데는 지역사회여론통합이 관건이다, 주민들의 의견수렴에서부터 여론주도층 이른바 지역사회 오피니언리더들의 지역관심사에 대한 참여의식제고와 합의를 이끌어내는 토론문화가 조기 정착되어야한다 지역사회 지도층사이에 보이지않는 반목과 갈등이 있을때는 지역발전이란 연목구어에 불과하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지역에 관심없는 시민은 없다, 지역이 발전되어 더 살기좋은 고장이 된다는데 반대할 사람은 더더욱 없을 것이다.

문제는 어떤 새로운 안이 제기되면 이를 여론화하고 수렴하는 의사통합과정이 정착 되지않고 있고 사회 지도층간에 나 몰라라 하는 배타적 무관심이 지역발전을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이다.

우리 상주도 이런 면에서 자유롭지 않다고 보는게 기자의 시각이다.

앞으로 이웃 시, 군의 발빠른 발전상을 보면서 우리 모두 한번쯤 깊이 생각해 보자.

키워드

#N
저작권자 © 전국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