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심국제중·고등학교 교직원 김훈

학교현장에서는 적어도 지난 몇 년 동안 과거에 비해 훨씬 민주적인 절차에 따라 학생들이 선거의 과정과 학생자치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민주주의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해를 거듭할수록 조금씩 발전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예전에는 전교회장 또는 학생회장, 그리고 학급반장 이라고 호칭되던 임원의 명칭이나, 학교장이 수여하는 임명장이라고 불리던 증명서가 이제는 각각 학생자치회장, 학급자치회장 그리고 학생선거관리위원회에서 발급하는 당선증 이렇게 민주적인 의미에 더욱 부합하는 말로 변경되어 사용되고 있다. 나아가 실제 학생대표의 지위도 과거에는 단순히 학교당국이나 교사의 지시에 일방적으로 따르거나 학사업무에 협조하는 수동적 관계였지만 요즘은 학생자치회를 직접 구성하고 자치활동을 계획하며 교육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학생을 능동적으로 대표하는 역할로 변화되고 있음을 체감한다.   

학교사회의 구성원들인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자치활동을 해 나가고 학교공동체의 문제에 대한 의식수준이 높아지게 되면 선거와 관련된 일련의 과정(선거입후보, 공약발표, 공개토론, 투표 등)에 대한 경험이 민주주의를 보다 더 직접적으로 학습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해 교실에서 책으로만 민주주의와 선거를 공부하는 것 보다 실제로 체험하면서 배울 수 있는 학습효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고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거를 통해 학생대표를 선출하는 과정이 항상 바람직하고 교육적인 것만은 아닌 것 같다. 때로는 어른들의 세상에서 현존하는 선거의 축소판처럼, 또는 기성세대인 일부 학부모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지나치게 경쟁이 과열되거나 상대방을 교묘히 흠집 내려는 네거티브 선거운동도 가끔 눈에 띄곤 한다. 심지어 학칙에 저촉될 수도 있는 수준의 금권선거운동의 의혹이 발생되기도 한다. 그렇다면 민주주의를 배우기 위해 경험하는 학생선거에서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것일까? 결국 인간의 본능일 수밖에 없는 욕심 때문일 것이다. 공동체에 대한 순수한 봉사라기보다는 학생대표로 선출되는 것에 대한 그릇된 공명심, 그리고 상급학교로 진학할 때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경력을 쌓기 위한 목적이라면 그에 따른 그릇된 방식의 경쟁이 생길 수도 있는 것이다.   

학교라는 곳은 어린 학생들을 올바르게 교육하는 곳이어야 한다. 학교는 세상에 존재하고 있는 정치제도와 선거들에 대해 무엇이 옳은 것이고 현실적으로 어디까지 이해 가능한 것이며 또 어떤 것은 어떻게 잘못된 것이라는 것에 대해 교육공동체가 함께 고민하고 토론함으로써 민주주의와 민주주의의 꽃이라고 불리는 선거에 대해 제대로 배워 나갈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학교는 “민주주의의 꿈이 자라는 뜰” 이어야 한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전국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