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호 영남취재본부 국장

대구·경북 농민단체들이 제초제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정부차원의 대책마련을 요구하고 나섰다.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민들은 “제초제를 살포하지 않고 잡초를 제거하는 대안이 없다”고 하소연하고 있으며 관련 행정관서 조차 토양오염에 대한 심각성을 잊어버진지 오래다.

세계보건기구 역시 제초제의 주성분인 글라이포세이트가 암을 유발한다고 발표했지만 최근 몇 년간 GM옥수수와 콩이 광범위하게 재배됨에 따라 이들 GM작물은 강력한 제초제에 견디고 주변잡초의 제거도 강력한 제초제에 농민들은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부 지자제는 제초제 없는 시범마을을 지정해 토양 살리기에 앞장서고 있다. 전남 무안군의 경우 매년 제초제 없는 시범마을로 정해 신규마을은 예초기, 소형농기계 등을 지원하고 제초작업을 위한 인건비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대구·경북농민들은 고작 대체방안으로 한시적인 부직포에 의존하지만 이마저 1~2년 사용후 폐기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과 주산지인 경산, 영천, 청송 등 대부분의 농장들은 제초제를 살포하는 방법 밖에 없어 토양오염과 지하수오염 등으로 생태계 폐해는 물론 환경파계의 주범으로 이어지고 있다.

제초제 살포로 인한 토양이 붉게 오염돼 있다.

현재 농경연 FAO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1ha당 농약사용량은 지난 2016년 기준 11.8kg에 달했다. 반면에 세계 최대의 농업생산국인 미국은 2.6kg, 영국은 3.2kg, 호주 1.1kg, 캐나다 1.6kg으로 비교하면 10배정도 차이나는 국가도 있다.

이같이 무분별한 제초제사용으로 인한 토양, 수질오염에서 벗어나 자연보전이나 생태계보전 등 농업이 창출하는 공익적 가치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한국농업의 실상은 국민기대에 한참 미치지 못하는 현실이다.

경산에서 과수농장 6천여평을 경작하는 이모씨(58)는 “잡초제거에 인력이 부족해 마구잡이 제초제를 사용하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며 “제초제 사과라는 누명을 벗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PE제품을 나무밑에 깔아 반영구적인 제품개발이 시급하다”고 했다.

농민단체들은 “정부나 지자체에서 농가들에게 제초제 사용을 줄일 수 있도록 지원 대책을 세워 선진농업에 다가가는 획기적인 대안으로 땅과 사람에게도 피해을 줄여야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전국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