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넉달째 동결…연 2.5%

 ▲ ⓒ나라일보▲ ⓒ나라일보

전문가들은 대외 돌발변수가 덮치지 않는 한 당분간은 통화정책에 손대지 않고 상황 변화 추이를 주시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금리 조정 쉬어가자

한은 금통위는 12일 전체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의 2.50%로 유지하기로 했다. 지난 5월 기준금리를 연 2.75%에서 2.50%로 내린 이후 넉달 연속 동결 조치다.

이는 시장의 예상과 일치하다. 금융투자협회의 설문조사에 응한 채권전문가 126명 전원이 이달 금리 동결을 점쳤다. 선진국 경기 회복에 따른 수출 증가와 신흥국 금융시장의 불안이란 금리 상하 조정 요인이 있지만, 오는 17~18일 결정되는 미국의 양적완화(QE) 축소 여부를 지켜본 뒤 중립적(동결) 스탠스를 바꿔도 늦지 않을 것이란 판단에서다.

김선태 KB경영연구소 거시금융팀장은 "경기 선행지표가 좋아지고 있지만 미국 출구전략 실행이 가시화되면서 신흥국 경제의 위험이 커지고 있다"면서 "현 시점에선 통화정책에 변화를 주기 보단 상황을 좀 더 지켜보는 편이 낫다"고 진단했다.

지난달 금통위 이후 금리를 변경할 만큼 대내외 경기에 큰 변화는 없었다. 수출과 소비, 투자, 고용 등 주요 경제지표는 한은의 예상대로 회복되는 추세다.

지난달 수출은 463억6500만달러로 1년 전보다 7.7% 늘었다. 7월 광공업생산은 일부 자동차업체의 부분파업과 절전규제에 따른 생산차질 여파로 전월보다 0.1% 감소한데다 서비스업도 0.2% 줄었지만 건설업과 공공행정이 각각 0.8%, 5.9% 증가하면서 전(全) 산업생산은 0.3% 커졌다. 소매판매액지수도 전월대비 1.1% 올랐다. 투자의 경우 설비투자가 운송장비(-1.4%)와 기계류(-2.8%) 감소로 2.5%를 내렸지만, 건설투자는 토목(6.0%) 증가에 힘입어 0.8% 늘었다.

고용 시장도 개선됐다. 지난달 취업자 수는 2529만1000명으로 1년 전보다 43만2000명 늘었다. 증가 폭은 지난해 9월(68만5000명) 이후 11개월 만에 최대다.

기준금리의 첫 번째 고려요소인 소비자물가는 하향 안정세가 지속됐다. 8월 물가상승률은 1.3%로, 지난해 11월 이후 10개월째 1%대다.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로 신흥국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는데다 중국 경기 둔화가 여전하다는 점은 염려되는 대목이다.

그렇다고 당장 금리는 인상하기엔 가계부채 심화 우려가 크다. 정책금리가 오르면 빚을 진 가계·기업의 금융 부담을 늘려 소비와 투자 부진으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지난 6월말 현재 가계부채 규모는 980조원이다. 2003년 472조1000억원이었던 것과 견줘보면 10년새 2배 이상 불어난 것이다. 1999~2012년 연평균 가계부채 증가율은 11.7%에 달한다.

박혁수 현대증권 채권전략팀장은 "정부의 재정정책과 금리인하 효과, 대외경제 흐름 등을 지켜보는 단계"라고 말했다. 박종연 우리투자증권 연구위원도 "국내 통화정책이 휴지기에 들어갔다"고 평했다.

유럽중앙은행(ECB)·호주중앙은행(RBA) 등 외국 중앙은행들의 잇따른 금리 동결이 금리 조정 가능성을 희석했다.

오현석 삼성증권 책임연구위원은 "우리 경제 사이클과 비슷한 유럽과 호주가 금리를 움직이지 않았다는 점에서 동결은 예견된 일"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 "인하 물 건너갔다"…인상 시기 놓고 '분분'

연내 기준금리를 조정할 수 있는 기회는 이제 3차례(10~12월)뿐이다. 그러나 이 기간 금리가 움직이게 될 것이란 견해는 드물었다. 내년이 돼야 인상 여부를 저울질하게 될 것이란 관측이다.

전효찬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미국이 양적완화 축소를 앞둔 상황이라 더 이상의 금리 인하는 없을 것"이라면서 "올해 말까지는 금리가 동결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부문장도 "인하를 고려하는 시기는 지났고 내년 중반기부터 금리를 올리려고 시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종연 연구위원 역시 "앞으로 금리 인하는 어렵고 인상만 가능할 것"이라면서 "인상 시기는 내년 하반기 정도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전국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