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특례시' 자족도시는 '의문', 베드타운 벗어나야

(용인=김태현 기자)시작이 있으면 끝이 있다. 9년 가까이 도시건설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도로건설, 공원조성 등 많은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들을 다수 검토하고 제안도 했다.

용인시는 도시개발에만 집중되는 탓에 과도한 도시 팽창이 이뤄졌다. '자족도시'로의 면모가 아닌 '베드타운'의 모습이 더욱 강하다.

사업성에 치우쳐 상업시설이 보충되어야하는 곳엔 주거오피스텔이 자리하고 뒤늦게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웃지 못할 일들이 이어졌다. 활성화가 되겠는가.

간단하게 설명하면 식생활도 생산의 일종이다. 돈을 쓸 곳이 있어야 회전이되고 일대가 활성화 된다.

이제는 양적인 모습에서 질적인 계획이 필요하다.

예를들어 RND연구센터 건립과 친환경업체들의 입주 등에는 지원과 육성이 필요하며 정당한 인센티브가 주어져야 한다. 용인은 이러한 부분을 놓쳐갔다.

 

# 연속된 도시계획 필요, 4년마다 뒤집히는 계획은 자족도시 용인의 가장 큰 걸림돌

아탑깝게도 용인시는 7명의 시장이 바뀜에 따라 마무리되지 않는 사업이 속출했다. 

도시기본계획도 5년마다 현실을 반영한 수정에 들어가지만 용인은 임기 4년의 7명의 시장이 바뀌고 시장에 따라  도시계획이 바뀌면서 연속성과 정체성을 잃었다.

시민들은 초선시장을 '컴퓨터 초기화'에 비유하며 4년마다 바뀌는 계획에 대한 신뢰를 상실하는 결과를 나았다.

시민들의 눈높이와  특례시에 걸맞는 업그레이드 된 행정에 대한 욕망을 받아드려야 한다.

11년 간 시의회에 몸담으며  잦은 인사로 인해 업무의 연속성이 결연되는 부분의 아타까움도 있었다. 시의원인 나로서도 그렇고 시민들의 답답함은 계속된 민원으로 이어졌다.

담당자가 자주 바뀌는 탓에 설명만하다 끝나는 일도 부지기수다.

적어도 구청장 동장 등의 인사는 1년 정도는 보장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그래야 예산 편성, 집행, 그 결과까지 책임질 수 있다.

#책임의 '회피'는 행정의 퇴보를 불러온다.

수지구 풍덕천동의 한국에너지관리공단 부지의 개별공시지가에 대한 현실화 미반영을  지적 한 바 있다.

인근 같은 용도지역 대비 낮게 책정됨에 따라 재산세 추징에 문제가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는 2015년 1종 일반주거지역에서 준주거지역으로 용도지역이 변경 됐지만 시는 이를 미반영해 재산세 추징에 오류를 범했다. 또 2016년부터 2019년까지도 시정되지 않았다.

지적이 이따르자 시는 지난해 11월 2016년 재산세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한 재산세를 정정고시 후 추징할 예정이라고만 밝혔다.

시는 단지 착오라고 주장하며 그 어떠한 책임을 묻지 않았다. 아타까운 일이다.

#11년 남짓의 의원 활동, '흘러넘치는 것은 주워 담을 수 없다'

해를 거듭할수록 '모자람은 채울 수 있지만 흘러넘친 것은 주워 담을 수 없다'는 말이 가슴에 와 닿는다.

그동안의 일들을 뒤돌아보면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은 성복중학교 앞 통학로 개설과 서수지IC 인근 별다올어린이공원 내 물놀이장 개설사업을 추진한 것이다.

저출산으로 인해 다양한 출산 장려 정책이 수립되고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들이 안전하게 다닐 수 있고 즐겁게 뛰어놀 수 있는 공간이 많아야 한다는 생각에 추진했다.

이와 함께 남녀노소 뿐 아니라 누구나 함께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화장실의 변화도 꽤하고 있다. 화장실의 개념 변화와 안전, 그리고 공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공유 공간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많은 지역주민들이 고마워해 주셔서 감사하다. 앞으로도 살기좋은 도시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전국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